인공지능로그🗿 3

비지도와 자가지도 이론 및 최근 연구 동향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데이터에 대한 레이블이 없는 상태에서 패턴이나 구조를 발견하는 기계 학습의 한 분야. 이론적으로 비지도학습은 데이터의 내재된 구조를 이해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주요 비지도학습 알고리즘1. 클러스터링 알고리즘K-평균 클러스터링: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나누는 알고리즘으로, 각 클러스터의 중심을 반복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최적의 클러스터 탐색계층적 클러스터링: 데이터 포인트 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계층적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방법. 덴드로그램을 통해 클러스터의 구조 시각화.2. 차원 축소 알고리즘주성분 분석(PCA): 고차원 데이터를 저차원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의 분산을 최대화하는 방법입니다. 데이터의 주요 특징을 유지하면서 차원..

[ML] scikit-learn

오늘은 머신러닝의 대표적인 라이브러리 'scikit-learn'에 대해 알아보겠다.     scikit-learn(sklearn)이란사이킷런은 파이썬 기반의 대표적인 머신러닝 라이브러리이다. 다양한 ml 알고리즘과 프레임워크, api를 제공하여 손쉽게 머신런이 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래는 사이킷런 사이트이다.https://scikit-learn.org/stable/ scikit-learn: machine learning in Python — scikit-learn 1.4.2 documentationModel selection Comparing, validating and choosing parameters and models. Applications: Improved accuracy vi..

범죄수사학 연구와 인공지능이 만나면?

한국통신학회를 갔다왔다.  얼마전, 1월 31일 ~ 2월 2일에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는 한국통신학회에 참석하였다. 올해는 한국통신학회 창립 50주년이라 삼성전자 최성현 부사장, SKT 이종민 부사장를 비롯한 UCL의 Kai Kit Wong 교수 등 통신분야에서 저명한 사람들을 초청하였다. 나는 금요일 오후 3시에 도착하여, 호텔 체크인을 한 후 4시부터 학회 세션에 참가하였다. 내가 참가한 세션은 인공지능소사이어티 특별세션 2로목록- 효율적 신호등 인식을 위한 딥러닝 기반 카메라 IMU 융합 시스템- Encoder- Decoder 아키텍쳐 종류에 따른 이미지 캡션 분석- 긴급신고 범죄 접수 및 수사를 위한 인물 네트워크 생성 기반의 스마트 범죄 수사 기법 연구...등이 있었다. 이중 내가 가장 흥미롭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