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World!"
지금 시각은 2023년 10월 15일 일요일 오후 9시 22분, 티스토리 블로그의 첫 스타트를 끊는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한 기념으로 첫번째 글은,
학업 빼놓고는 얘기할 수 없는 대한민국에서 아주 중요한 신분증 중 하나인
나의 전공에 대해 애기해볼까 한다.
흔히들 이 글 제목에서 Computer와 UX를 보고 소프트웨어공학이나 컴퓨터정보통신공학이라 생각하겠지만,
사실 이 대답은 절반만 맞다고 할 수 있겠다.
Human Computer Interaction, 줄여서 HCI라고 불리는 이 학문은 사람과 컴퓨터 또는 다른 기술 간의 상호 작용을 연구 및 설계하는 학문이다. 이는 컴퓨터정보통신공학(또는 전산학과)에서도 배우지만, 사실 산업디자인학과와 같은 디자인학부와 심리학과, 마지막으로 My Major, 산업공학(Industrial Engineering) 등의 서로 다른 연구 분야에서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발전시키고 있는 학문이다. (하지만 사실 나는 Major가 sw eng.으로 한개 더 있는 이중스파이같은 존재다😂)
실제로 이번학기에 듣고 있는 HCI 전공 수업 때, <Human Computer Interaction; Ux Innovation을 위한 원리와 방법> (저자: 김진우) 라는 책으로 강의를 듣고 있는데,
이 책은 창의적디자인, 정보통신, 시각디자인, 디지털미디어, 산업공학, 기계설계공학, 언론정보학...(이하생략) 등의 교수자들이 감수하였다. 한마디로 이 책, 이 분야는 나같이 눈앞에 재미있는 것이 있을 때, 이것저것 따지지 않고 즐기며 관심 분야로 가져가는 어린아이 같은 사람들에게 상당히 흥미롭고 지루할 수가 없는 학문이다.
HCI를 산업공학 관점에서 바라보자면,
첫 번째, HCI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과 행동을 이해하고,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을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산업공학은 이와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며, 제품 또는 시스템을 사용하기 쉽고 효과적으로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우리가 매일같이 사용하는 IT 서비스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두 번째, HCI는 인간 요소 공학의 한 부분으로서, 인간의 능력, 특성, 행동 및 제한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을 설계한다. 산업공학은 이러한 인간 요소를 고려하여 작업환경, 제품 및 서비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개선하고 있다.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의자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세 번째, HCI는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이것은 산업공학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인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과 관련이 있다.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의 효율적인 설계는 생산과 작업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자동차나 전자제품 공장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네 번째, HCI는 사용자가 제품 또는 시스템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한다. 이는 산업공학에서 품질 관리 및 안전성 개선과 관련이 있다. 삼성이나 LG의 품질경영부서 또는, 건설 현장과 밀접한 안전공학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HCI를 배우면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을 개선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생산과 운영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데, 이는 산업공학 분야에서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 효율성, 안전성을 개선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은, 산업공학도라면 (그게 아니더라도) A 분야와 B 분야를 접목 및 융합시키는데 중요한 다리 같은 역할을 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열심히 공부해 놓는다면 여러 방면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산업공학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공학론] System Integratio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② (1) | 2024.06.09 |
---|---|
[시스템 공학론] System Integratio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① (1) | 2024.06.02 |
QA에 대해 어디까지 아시나요? (2) | 202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