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

데니스 뇌르마르크 『가짜 노동』 북리뷰

헤스더 2024. 6. 30. 22:00

 

어느덧 6월의 마지막 날이다.

이로써 2024년의 절반이 지났다.

(시간이 너무 빨리 흐르는 듯..!!)

 

 

 

 

 

 

오늘은 6월에 팀원들과 토론했던, 데니스 뇌르마르크,아네르스 포그 옌센의 『가짜 노동』에 대해서 북 리뷰를 남기고자 한다.

 

 

 

 

 

읽게 된 계기 + 이런 사람에게 추천

저번에도 언급한 듯 하지만, 우리는 서로 읽고 싶은 책을 한권씩 추천하고 한 달에 한번 그 책에 대해서 토론하는(+편하게 사설을 나누는) 시간을 가진다. 이번 책은 팀원들 중 나이가 가장 어렸던 친구의 강력한 어필로 읽게 되었다. 나는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것에 있어서, 그 책은 그 사람의 마음과 많이 닮아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 친구는 자칭타칭 일중독자의 캐릭터를 갖고 있는데, 평소 시간을 비효율적으로 보내는 것을 매우 싫어하는 편이다. 모임을 시작하기 전부터 이 책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아보였기에, 나는 이 책을 평소 일상생활이나 업무를 처리할 때 시간 관리와 극도의 생산 효율성에 집착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여기서 집착한다는 표현을 부정적으로 사용한 것이 아님을 밝힌다)

 

 

 

 

 

저자 소개

두 저자는 모두 덴마크 출신의 학자로, 노동, 정치,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이들이 공동으로 출간한  『가짜 노동』이라는 책은, 현대 사회에 만연한 의미 없는 업무와 가짜 노동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두 저자는 현대 사회의 노동 문화와 조직 문화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고 있는 학자들이며, 이들의 연구와 저작을 통해 우리는 가짜 노동의 문제점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아래 두 학자의 PR 사이트를 첨부한다.

 

 

데니스 뇌르마르크

https://www.dennisnormark.dk/

 

Dennis Nørmark | Foredragsholder, forfatter & antropolog | Pseudoarbejde

Dennis Nørmark er en populær og efterspurgt antropolog, forfatter, foredragsholder, debattør og konsulent.

www.dennisnormark.dk

아네르스 포그 옌센

https://www.filosoffen.dk/

 

 

 

 

 

목차

이 책은 약 400p로 방대한 정보량과 두꺼운 두께를 자랑하고 있다. 크게 1~3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아래 각각 3장, 7장, 4장으로 하위 목차가 구성되어 있다.

 

1부. 사라진 시간
1장. 지나친 노동량
2장. 텅 비어가는 노동
3장. 노동의 본질과 변화

2부. 사라진 의미
4장. 가짜 노동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
5장. 해결책이 불러온 문제들
6장. 남에 대한 모방을 멈추자
7장. 우주에서 지구로 복귀하자
8장. 긍정이 지배하는 사회
9장. 무의미한 노동시간 줄이기
10장. 노동시간에 대한 관념 버리기
11장. 사람을 믿자

3부. 시간과 의미 되찾기
12장. 노동과 인간의 본질
13장. 변화를 위한 우리의 전략
14장. 관리자를 위한 의미 있는 조언들
15장. 가짜 노동 없는 사회

 

각각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얘기하겠다.

 

 

 

 

 

주요 핵심 내용

1부. 사라진 시간

1부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만연한 '가짜 노동'에 대해 다룬다. 기술의 발달, 사회적 압력과 경쟁으로 인해 생겨난 이러한 가짜 노동이 비생산적이고 비효율적이며 창의성을 저해한다. 사람들이 바쁘게 일하지만 실제로는 무의미한 일을 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2부. 사라진 의미

2부에서는 가짜 노동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가짜 노동을 위한 다양한 전략과 해결책이 오히려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가짜 노동을 낳는 사회적 관행과 문화 중 회의, 이메일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3부. 시간과 의미 되찾기

3부에서는 가짜 노동에서 벗어나 진짜 노동에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노동의 본질과 의미를 되돌아보고,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가짜 노동을 줄이는 전략을 제안한다.(눈치보지 않고 퇴근하기, 회의는 무조건 짧을수록 좋다. 등등)

 

 

 

 

 

토론 질문

1. 노동은 특정한 대상이 육체적, 정신적으로 행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여러분이 하고 있는 노동의 동기는 무엇인가?

2. 이 책에서는 가짜 노동을 형성하는 데는 환경에 영향이 다분하다고 주장한다. 여기서의 환경은 회사의 근무환경, 관리직의 능력 등 다양한 부분을 포괄하여 설명한다. 팀장을 관리직에 비유한다면, 여러분이 생각하기에 팀장(관리자)이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가?

3. 가짜노동의 해법으로 기본소득이라는 해결책을 주장한다. 여러분들은 기본소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4. 이 책의 의견을 참고하여, 대한민국에 만연한 가짜 노동의 문제점이 무언인가? 가짜 노동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떤 행위를 실천할 수 있을까?

5. 여러분이 지금까지 행했던 가짜 노동이 있다면 무엇인가? 그것이 가짜 노동이라는 것이라는 걸 인지했는가?

 

 

 

 

 

감상평

오늘날 석박사의 고학력자가 연 평균 1만명 이상이 쏟아지는 시대가 되었다. 과연 이러한 시대에 우리가 하는 노동은 진정으로 가치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앞으로 우리가 취해야 할 태도와 방향성은 과연 무엇일까?

생산성과 노동시간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노동을 해야 되는 이유에는 생존, 돈, 타인의 인정 및 명예 등 다양한 사유가 있겠지만, 타인의 인정과 같은 허위-유기적 상호작용은 결국 가짜 노동에 불과한다.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노동은 진짜 노동인가 가짜 노동인가? 우리는 깊이 있게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